본문 바로가기

영어 신문

[영어로 재테크] 청약이 왜 로또처럼 불리냐면? 그 이유를 알려드려요!

반응형

청약 당첨, 왜 ‘로또’처럼 불릴까요? (Why Is Winning a Housing Subscription Like Winning the Lottery?)

안녕하세요, 영어강사 Vivi입니다!

오늘은 한국의 청약 제도에 대해 다뤄볼 거예요. 특히 청약 당첨이 왜 ‘로또’처럼 불리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? 이 글을 통해 청약의 개념을 이해하고, 영어 표현도 함께 배워보세요!

저와의 영어 수업은 아래 링크 클릭!

 

English 버킷리스트 : 네이버 스마트스토어

English Quest for Better English

smartstore.naver.com

 


1. 청약이란? (What is Housing Subscription?)

청약은 새로 건설되는 아파트를 분양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간단히 말해, 사람들이 청약을 신청해서 당첨되면, 새 아파트를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기회를 얻는 거예요.


2. 왜 청약 당첨이 '로또'처럼 느껴질까요? (Why Does Winning Housing Subscription Feel Like Winning the Lottery?)

청약 당첨이 ‘로또’처럼 여겨지는 이유는 경쟁이 치열하고, 당첨되면 큰 금전적 이득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 예를 들어, 서울 강남과 같은 인기 있는 지역에서 청약에 당첨되면, 새 아파트를 시장 가격보다 훨씬 저렴하게 살 수 있습니다. 이 차액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당첨자에게는 사실상 ‘로또’ 같은 기회가 되는 거죠.

  • 경쟁 (Competition): 청약에 당첨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사람들이 경쟁해야 합니다.
  • 금전적 이득 (Monetary benefit): 당첨되면 시장 가격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아파트를 살 수 있어 큰 금전적 이득을 얻게 됩니다.
  • 시세 (Market price): 아파트의 시장 가격은 청약 가격과 크게 차이날 수 있어요.

3. 분양가 상한제와 HUG 규제 (Price Ceiling System and HUG Regulations)

청약 당첨이 ‘로또’처럼 여겨지는 이유 중 하나는 분양가 상한제HUG 규제입니다. 분양가 상한제는 아파트의 분양가를 정해진 기준 이하로 제한하는 제도로, 이를 통해 아파트 가격을 시장 가격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강남 재건축 아파트의 분양가는 약 20억 원인데, 시세는 45억 원일 수 있습니다. 이 경우, 청약에 당첨되면 25억 원의 차액을 얻을 수 있다는 거죠!

  • 분양가 상한제 (Price ceiling system): 아파트의 가격이 시장 가격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규제하는 제도입니다.
  • HUG (Housing and Urban Guarantee Corporation): HUG는 분양가를 조정하여 주택 가격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.

4. 무순위 청약 (Non-Ordinary Subscription, '줍줍')

청약에는 ‘줍줍’이라는 특별한 개념도 있습니다. '줍줍'은 무순위 청약을 뜻하는데, 이 경우 청약통장이 없어도 신청할 수 있습니다. 보통 청약에 참여하려면 청약통장이 있어야 하지만, 미분양이나 미계약된 아파트에 대해서는 청약통장이 없어도 신청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. 이때 많은 사람들이 청약을 신청하기 때문에 경쟁은 매우 치열해지죠.

  • 무순위 청약 (Non-ordinary subscription): 통장 없이 신청할 수 있는 청약.
  • 미분양 (Unsold apartments): 청약을 받았지만,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이 부족해 팔리지 않은 아파트.
  • 미계약 (Uncontracted apartments): 청약에 당첨되었지만, 당첨자가 계약을 포기하거나 조건을 맞추지 않아 계약되지 않은 아파트.

5. 미분양과 미계약의 차이 (Difference Between Unsold and Uncontracted Apartments)

  • 미분양 (Unsold apartments): 청약을 받았으나, 신청자가 부족하여 팔리지 않은 아파트.
  • 미계약 (Uncontracted apartments): 청약에 당첨되었으나, 당첨자가 계약을 포기하거나 부적격자로 판명되어 계약되지 않은 아파트.

‘줍줍’ 청약은 이런 미분양과 미계약된 아파트가 나오면, 청약통장이 없어도 신청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

6. 청약 통장과 관련된 유용한 영어 단어

청약에 관련된 다양한 단어를 알면, 영어로도 이해하기 쉽습니다. 여기 몇 가지 유용한 단어를 소개할게요!

  • 청약통장 (Housing subscription account): 청약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통장.
  • 분양 (Sales of newly built apartments): 새로 건설된 아파트를 판매하는 것.
  • 입주자 (Resident): 새 아파트에 입주하는 사람.
  • 분양가 (Price of newly built apartments): 아파트의 분양 가격.

개인 영어 수업 문의는 카톡으로 연락 주세요 :)

마무리 (Conclusion)

오늘은 청약 당첨이 왜 ‘로또’처럼 불리는지, 그리고 청약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들을 알아보았습니다. 청약은 경쟁이 치열하고, 당첨되면 시세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아파트를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, 많은 사람들이 청약 당첨을 ‘로또’처럼 생각하게 되는 거죠. 또한, 무순위 청약(줍줍)을 통해 청약통장이 없어도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.

청약에 대해 조금 더 잘 이해하시고, 영어 단어와 표현도 배운 느낌이 드셨나요? 앞으로도 영어 공부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글을 많이 올리도록 할게요!

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

반응형